제럴드 M. 와인버그의 Quality Software Management 시리즈에 나오는 “Practicing to Become a Change Artist”를 하나씩 정리해 보려고 한다.

변화 예술가(Change Artist)는 변화 계획이 움직이도록 만드는 윤활유이다. 사람은 기계가 아니기 때문에, 항상 부드럽게 작동하는 것은 아니며, 갑작스럽게 작동을 멈추는 것도 아니다. 변화 예술을 익히려면 여러분에게는 책을 통한 이론적 학습과 워크숍을 통한 경험적 훈련이 필요하지만, 사티어 변화 모델에 따르면 연습과 경험 또한 필요하다.

대니 와인버그와 나는 몇 년 동안 많은 동료들의 도움으로 수 천 명의 변화 예술가들을 훈련시켜 오면서 이론적 변화 예술을 테스트할 수 있는 다수의 실용적인 실험을 개발해왔다. 우리는 이러한 실험들을 ‘도전’이라고 부르며, 여러분들이 이후에 나오는 도전들을 받아들여서 이론적 학습을 테스트할 수 있도록 도전 의식을 북돋으려고 한다.

이 도전들은 순서에 따라서 각각 하나씩 완전히 숙달한 후 그 다음으로 진행해야 한다. 각 도전에 최소 일주일을 사용하고, 연습이 더 필요하다고 느낀다면 도전을 반복하기를 추천한다. 도전을 위한 최선의 환경은 세 명 이상의 동료가 그룹을 만들어서 동일한 도전을 동시에 시도한 다음, 함께 학습한 내용을 공유하는 것이다. 여러분이 속한 조직 외부에서 사람들을 찾아야 하는 상황이더라도, 그러한 지원 그룹을 꼭 찾아보길 바란다.

 

#01. 출근하기


첫 번째 도전은 여러분 자신의 구체적인 변화 프로젝트를 착수하는 것이다. 사티어 변화 모델과 그에 대한 일부 감정적 결과를 경험하는 것이 목적이다.

도전

여러분이 할 도전은 내일 다른 방법으로 출근하는 것이다. (Your challenge is to go to work tomorrow in a different way.)

경험

이 임무에 대한 첫 경험은 이 문장을 읽었을 때 여러분의 머리와 가슴에서 일어난다. 몇 가지 전형적인 예를 들어보자.

1. 나는 곧바로 공황(혼돈) 상태에 빠져 버렸어요. 지각을 하면 어쩌지? 나는 이미 제일 빠른 출근길을 알고 있고, 그 길로 4년째 운전을 하고 있는데. 갑자기 나는 기존 상태(late status quo)에 있을 때의 감정을 정확하게 이해하게 되었고, 내가 변화를 시도하려는 사람들을 더욱 배려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2. 처음으로 든 생각은 “그건 불가능해!”였습니다. 이미 익숙한 출근길 이외에 다른 길을 하나도 생각해 낼 수 없었어요. 무엇보다 강을 건너는 다리가 딱 하나 뿐이었거든요. 어떻게 하지? 수영을 해야 하나? 그렇게 할것까지는 없다고 생각하자 마음이 한결 편안해졌습니다. 그런 다음 나는 질문에서 요구한 것이 ‘다른 경로(different route)’가 아니라 ‘다른 방법(different way)’이라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나는 외부 요인(foreign element)을 이해하지도 못하면서 거부하고 있었던 것이지요.

다음은 과제를 수행한 후의 소감이다.

3. 나는 넥타이를 매고 출근하기로 결정했는데 전에는 한 번도 넥타이를 매고 출근해본 적이 없었습니다. 다른 사람들의 반응은 완전히 예상 밖이었어요. 반응을 보인 사람들의 숫자도 그렇고 그 반응의 강도도 매우 놀라웠습니다. 내가 외부 요인이 되는 것이 얼마나 쉬운 일인지 알게 되었고, 딱 한 가지 만을 변화시킬 수 없다는 것도 배울 수 있었습니다.

4. 나는 다른 자세, 즉 더 긍정적인 마음가짐을 먹고 출근했습니다. 하루가 완전히 달라졌어요. 내가 일하는 곳은 지난 주보다 훨씬 더 일하기 좋은 곳이 되었지요.

5. 다른 길로 운전하면서, 나는 길을 잃고 지금까지 한 번도 가본 적이 없는 곳으로 가게 되었습니다. 지각을 하긴 했지만 재미있는 경험이었습니다. 나는 매일 다른 길로 출근하기로 결심했고, 6개월 동안 여전히 다른 길로 출근하고 있어요. 매우 즐거운 일입니다.

6. 나는 매일 다른 길로 출근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 과제를 수행하지 않을 생각이었어요. 그러나 내게 다른 방법이란 같은 길로 출근하는 것일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그래서 나는 일주일 동안 매일 같은 길로 출근했고 몇 가지를 알게 되었습니다. 우선 내가 주의를 기울인다면 같은 방법이 같은 방법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둘째로는 내가 매일 같지 않다는 점입니다. 35번가의 신호 대기를 참을 수 없는 날도 있었고, 생각할 시간이 생긴 것을 반가워하는 날도 있었거든요. 나는 이 학습을 사용해서 지난 달에 거부된 제안을 다시 시도하는데 사용해보았습니다. 이번에는 사람들이 나의 제안을 마음에 들어했습니다.